대한민국 역대 최악의 산불.
SNS를 통해서 현장의 처절함을 보신 분들이 많으 실 겁니다. 영상과 뉴스를 통해서 보는 사람들의 입장도 많이 힘이 드는데 그 지역에 거주하시는 분들의 마음은 어떨까요...?
헤아릴수가 없습니다. 조금이라도 이번 산불 피해를 입으신 분들께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산불 피해 보상금 지원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산불피해 신고하기
산불 피해 보상금을 받기 위해서는 먼저 피해 신고를 해야 합니다.
- 신고 기한: 피해 발생 후 7일 이내
- 신고 장소: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시청 또는 군청
- 온라인 신고: 일부 지자체에서는 국민재난안전포털을 통해 온라인 접수 가능
2. 피해 조사 및 확인
신고 후 공무원이 현장을 방문하여 피해 규모와 원인을 조사합니다.
- 조사 후 피해 사실 확인서 발급
- 확인된 피해 유형에 따라 산불 피해 보상금 지급 여부 결정
3. 산불 피해 보상금 신청 절차
1) 필요 서류 준비
산불 피해 보상금 신청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 피해 신고서 (주민센터에서 제공)
- 신분증 사본
- 피해 전후 사진 (피해 상황을 증명하는 사진)
- 재산 증빙 서류 (등기부등본, 토지대장 등)
- 기타 추가 서류 (지자체별 상이)
2) 신청 방법
- 방문 신청: 주민센터, 시청, 군청 방문 후 신청서 제출
- 온라인 신청: 일부 지역은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국민재난안전포털을 통해 신청 가능
https://www.ins24.go.kr/safeInsrnc/intro/view.do
4. 산불 피해 보상금 지급
신청이 승인되면 피해 규모에 따라 산불 피해 보상금이 지급됩니다.
- 지급 시기: 신청 후 1~3개월 이내
- 지원 금액: 피해 유형과 규모에 따라 다름
5. 추가 지원 확인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경우 추가 지원이 있을 수 있으니, 해당 지자체에 문의해 보세요.